"차라리 문을 닫고 남의 집에서 설거지라도 하는 게 낫겠어요. 손님 기다리는 것도 괴로워요. "<br /><br />지난 27일 낮 12시쯤 경기도 양주시의 한 오리고기 전문점.<br /><br />한창 손님들이 많을 점심시간이지만 식당의 불은 모두 꺼져 있었다. 문을 열고 들어섰을 땐 차디찬 냉기마저 엄습했다.<br /><br />이때 50대 중년의 한 여성이 캄캄한 어둠 속에서 모습을 드러냈다. <br /><br />4년째 이곳을 운영하던 이명순(54.여) 씨는 전기와 난방을 모두 끄고 영업을 접었다. 하지만 식당을 떠나지 못한 채 홀로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. <br /><br />지난 17일 전북 고창에서 시작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(AI)가 전국 확산 고비를 맞으면서 이곳까지 손님들이 뚝 끊겼다.<br /><br />종업원 두 명마저도 월급을 받지 못할 것 같아 그만두고 말았다.<br /><br />이 씨는 "지난해까지는 그럭저럭 장사가 됐었는데 올해부터 불경기에 AI까지 겹치면서 예약했던 손님들마저도 모두 취소했다"며 "하루아침에 메뉴를 바꿀 수도 없는 노릇인데 어떻게 해야 할지 도저히 모르겠다"고 토로했다.<br /><br />이어 "경기북부 지역에서는 AI가 발병되지 않았는데도 손님들이 오지 않는다"며 "익혀서 먹으면 괜찮다는데 왜 그러는지 모르겠다"고 한숨만 내쉬었다.<br /><br />다른 오리고기 전문점들도 사정은 마찬가지.<br /><br />점심시간인데도 불구하고 사장으로 보이는 50대 남성만이 고개를 푹 숙인 채 홀로 카운터에 앉아 있을 뿐이었다.<br /><br />이 남성은 "심란하니 제발 나가달라"며 취재를 한사코 거부했다.<br /><br />오리에 이어 전파 속도가 빠른 닭이 고병원성 AI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도계장과 양계 농가들도 바짝 긴장하고 있었다.<br /><br />경기도 동두천시의 한 도계장. <br /><br />마니커가 운영하고 있는 이곳은 AI 이동제한으로 철문이 굳게 닫혀 있었다. 그 뒤로 대형 차량방역기와 방역복을 입은 직원 3명이 보초를 서듯 도계장을 지켰다.<br /><br />시장 점유율 15%로 국내 2위 판매업체인 마니커는 이곳에서 하루 평균 20만 마리를 생산하고 있으며, 아직까진 생산에 차질은 없는 상태라고 전했다.<br /><br />마니커 관계자는 "닭을 실은 대형트럭만이 출입이 허용돼 직원들도 차량을 가지고 들어올 수 없다"며 "혈액 샘플링으로 전수조사를 통과한 닭들에 한해 가공을 하고 있다"고 말했다.<br /><br />도계장의 사정은 그나마 나은 상황이었다.<br /><br />동두천시는 양계 농가들 입구마다 차량방역기를 설치해주고 매일같이 방역차량을 보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 지역에서 44년째 양계 농가를 운영하고 있는 이원기(76) 씨 부부는 이동제한 조치가 생계에 큰 영향을 끼쳤다.<br /><br />10만 마리에 달하는 닭을 키우고 있지만, 병아리를 농가에서 떨어진 곳에 위탁을 맡기는 바람에 노계들이 교체되지 못하고 있다고 하소연했다.<br /><br />이 씨 부부는 "계란 값은 계속 떨어지는데 농장 사료 값은 그대로"라며 "농민들은 이래저래 힘들어 밤에 잠도 오지 않는다"고 강조했다.<br /><br />또 "이 지역에서 40년 넘게 양계 농가를 운영하면서 이 지역에 AI가 온 적은 없다"면서도 "올해처럼 빨리 확산되는 건 보지 못해 겁이 난다"고 덧붙였다.